가게 운영에 필수인 카드 단말기. 하지만 막상 알아보면 복잡한 용어, 알쏭달쏭한 수수료 구조에 머리가 아파옵니다. 유선, 무선은 뭐가 다르고, VAN사, PG사는 또 뭘까요? 그냥 다 똑같은 거 아닐까 싶기도 하죠.
저 리밋넘기도 처음엔 '다 똑같은 거 아니야?'라고 생각했다가, 월말 정산서를 보고 깜짝 놀랐던 경험이 있습니다. 카드사마다, 결제 방식마다 수수료가 다르다는 사실! 오늘은 사장님들이 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, 카드 단말기의 A to Z를 속 시원히 알려드릴게요. 😊
🧐 카드 단말기 종류, 내 가게엔 뭐가 맞을까?
카드 단말기는 크게 유선, 무선, 그리고 스마트폰 연동형으로 나뉩니다. 각기 장단점이 명확하니 내 가게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.
| 종류 | 추천 업종 | 장점 | 단점 |
|---|---|---|---|
| 유선 단말기 | 카페, 편의점, 일반 소매점 등 카운터 결제가 주인 곳 | 저렴한 가격, 안정적인 결제 속도 | 이동 불가, 공간 차지 |
| 무선 단말기 | 일반음식점, 배달 전문점, 야외 행사 등 | 이동성, 고객 테이블에서 직접 결제 가능 | 유선보다 비쌈, 배터리 충전 필요 |
| 블루투스 단말기 | 푸드트럭, 1인 마켓, 방문 판매, 프리랜서 | 휴대성 극대화, 저렴한 기기값 | 스마트폰 연결 필수, 결제 속도 다소 느림 |
제 카페는 카운터 결제가 전부라 저렴하고 안정적인 유선 단말기를 선택했지만, 테이블 결제가 많은 식당 사장님들은 무선 단말기가 필수라고 하시더군요.
https://www.thereisnolimit17.kr/2025/07/2025-vs_15.html
💳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어려운, '수수료율'의 모든 것
사장님들의 돈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. 카드 수수료는 국가에서 정한 '우대수수료율' 제도에 따라 연 매출 규모별로 달라집니다. 내 가게의 연 매출이 어디에 속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절세의 첫걸음입니다.
2025년 신용카드 우대수수료율 (금융위원회 고시)
| 구분 | 연 매출 기준 | 수수료율 |
|---|---|---|
| 영세가맹점 | 3억 원 이하 | 0.5% |
| 중소1 | 3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 | 1.1% |
| 중소2 | 5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 | 1.25% |
| 중소3 | 10억 원 초과 ~ 30억 원 이하 | 1.5% |
※ 체크카드 수수료율은 위보다 더 낮으며, 30억 원 초과 일반가맹점은 카드사와 협의하여 자율적으로 결정됩니다.
위 수수료는 카드사에 내는 돈입니다. 여기에 결제 정보를 전달하는 VAN(밴)사에 내는 이용료(정액제)나 단말기 업체에 내는 월 관리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. 계약 시 추가 비용이 없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.
✨ 2025년, 어떤 기능까지 확인해야 할까?
요즘 손님들은 현금이나 실물 카드 없이 결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다양한 간편결제를 지원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- NFC 결제(삼성페이/애플페이): 이제는 기본 중의 기본! 최신 단말기는 대부분 지원하지만, 구형 모델은 지원하지 않거나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.
- QR 결제(카카오페이/네이버페이 등): 스캐너가 내장되어 있거나, 화면에 QR코드를 띄워 결제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- POS 연동: 포스기와 연동하여 결제 금액을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바로 결제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세요. 이중 작업은 실수의 원인이 됩니다.
내 가게 카드 단말기 선택 3-STEP
자주 묻는 질문 ❓
카드 단말기는 우리 가게의 혈관과 같습니다. 꼼꼼하게 비교하고 현명하게 선택하여 사장님의 소중한 돈과 시간을 지키시길 바랍니다.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봐주세요! 👍
